- 목적:
addr2line 은 바이너리 파일이 segfault를 내며 죽어버렸을 때 코드의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되는것인지
찾을 때 유용하다.
사용하는 입장에서는 gdb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데.. gdb는 실행 전에 걸어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.
- 사용 절차:
1. 먼저 segfault가 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..
2. segment fault가 발생한 시점을 찾아서 그 주소값을 복사한다
$ ./test(_Z13segment_faultv+0×14) [0x400b64]
$ ./test(main+0x2f) [0x400c2f]
3. #addr2line <주소> -fe <binary>
ex) addr2line 400b64 -fe test
4. 결과로 출력된 위치로 이동해서 문제점을 찾는다.
'IT 생활 > 리눅스&우분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/Linux] 패킷 생성 및 전송 툴 - tomahawk, tcpreplay, bittwist (0) | 2011.04.26 |
---|---|
[리눅스/Linux] 크론탭(crontab) 설정 및 사용방법 (1) | 2011.04.12 |
[Linux/리눅스] 디버깅을 위한 gdb 사용법 및 명령어 - 초급 (0) | 2011.03.25 |
[리눅스/Linux] 빔(vim) 에디터 명령어, 단축키 및 활용 팁 (0) | 2011.03.24 |
[리눅스/Linux] top(탑) 명령어 단축키 및 활용 팁 (0) | 2011.03.24 |